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모두 즐거운 한가위 보내세요!

by hangulove 2023. 9. 21.
728x90
반응형

추석이 가까워졌기 때문에 오늘은 맞춤법이 아닌 한가위와 관련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한가위라는 말이 언제 생겼는지도 궁금하고, 왜 한가위라고 했는지도 궁금해서요. 자료는 한국 세시 풍속 사전과 두산백과사전 한국 향토 문화 전자대전에서 찾아왔습니다.

 

한가위의 뜻

 

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 또는 가을의 가운데를 의미하는 말이고, 한가위에서 '''크다'는 뜻도 있습니다. '한가위'는 크다와 가운데라는 말이 합해진 말이니까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 혹은 가을의 한가운데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매년 음력 815일은 추석으로 가족이 모두 모여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하고, 준비한 음식을 먹고 덕담을 나누며 즐기는 우리의 가장 큰 명절입니다.

 

한가위의 유래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三國史記)] 유리이사금 조에 의하면 왕이 신라를 6부로 나누었는데 왕녀 2인이 각 부의 여자들을 통솔해 편을 나누어 716일부터 814일까지 매일 아침 일찍부터 모여서 길쌈, 적마(績麻)를 하였다고 합니다. 815일에 그 성과를 가려 진 쪽에서는 술과 음식을 내놓아 이긴 쪽을 축하해주며 각종 놀이를 즐겼다고 합니다.

여인들이 길쌈을 짜는 것을 가배(嘉俳)라 하였고, 이때 부른 노래가 슬프고 아름다워 회소곡(會蘇曲)이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기록은 김부식이 적은 [삼국시대]에 나오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가배는 있었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역사서인 [일본서기]에 따르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날을 기념해 큰 잔치를 벌인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또 중국의 중추절(仲秋節)이 기원이라고 주장하는 설도 있습니다.

 

한가위 음식

 

새 곡식과 햇과일이 나는 시기여서 넉넉하고 다양한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들 수 있는 시기입니다.

 

추석에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은 송편입니다.

송편을 먹었다는 기록은 1680요록要錄"백미가루로 떡을 만들어 솔잎과 켜켜로 쪄서 물에 씻어낸다."는 기록이 처음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그 이전부터 만들어 먹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소로 "·검정콩···대추·미나리"를 넣었고, 부인필지婦人必知에서는 "··호두·생강·계피"를 넣었다고 하는 기록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시간이 흐르면서 송편에 들어가는 재료들이 더 다양해졌음을 알 수가 있죠.

 

도토리, 감자, 쑥을 넣고 만든 송편도 있지만, 함경도와 평안도, 경기도 지역 일부 해안에서는 조개를 넣어 송편을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햅쌀로 만든 송편을 오려송편이라고 했는데요. 오려는 올벼의 쌀로 만든 송편이라는 뜻입니다. 올벼는 제철보다 이르게 일찍 익는 벼를 말합니다.

 

송편 말고도 각종 나물 종류와 전을 만들었고, 가을에 나오는 토란으로 만든 토란국, 햇곡식으로 만든 곡주 등,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추석 민속놀이

 

강강술래

 

추석 민속놀이 중 대표적인 것은 강강술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사람이 손을 맞잡고 원을 그려 돌면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는 것을 강강술래라고 합니다. 강강술래는 1966년 중요 무형문화재 8호로 지정이 되어 전라남도 일대에서 여전히 그 맥락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강강술래는 우리말입니다. 강강수월래는 강강술래를 한자어로 바꾸면서 만들어진 말이니까, 강강술래라고 적는 것이 옳은 표현입니다.

 

이 밖에도 씨름, 거북놀이 소 놀이, 소싸움, 널뛰기와 제기차기 같은 놀이를 즐겼습니다.

 

반응형

 

추석 속담

 

추석이 들어가는 속담도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몇 개만 골라와 봤습니다.

 

1.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먹을 것도 넉넉하고, 모든 사람의 기분이 좋은 한가위.

일 년이 매일 한가위 날만 같으면 얼마나 좋겠어요.

 

2. 보은 아가씨 추석 비에 운다.

 

추수철인 가을에 비가 내리는 것은 반갑지 않다는 뜻입니다.

대추가 많이 나는 충청북도 보은에서는 가을에 비가 내리면 대추 흉년이 들어

다음해 혼수 마련이 어려워지니 시집가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3. 설은 질어야 좋고 추석은 맑아야 좋다.

 

설에 눈이 자주 오면 보리농사에 좋고, 추석 때는 벼가 익는 시기이므로 맑은 날이 많아야 풍년이 든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4. 옷은 시집올 때처럼, 음식은 한가위처럼

 

옷은 시집올 때처럼 잘 입고, 음식은 한가윗날처럼 잘 먹고 살고 싶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5. 설에는 옷을 입고 한가위에는 먹을 것을 얻어먹는다.

 

농사일이 없어 비교적 한가한 겨울철인 설에는 좋은 옷을 해 입고, 추수철인 추석에는 먹을 것이 풍부하여 먹을 것을 많이 얻어먹게 된다는 뜻입니다.

 

***

 

한글사랑에 찾아오시는 여러분!

남은 한 해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 같은 날이 계속되기를 바라겠습니다! 행복한 추석이 되기시를 기원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