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띄어쓰기7

너뿐이야 / 널 사랑할 뿐이야, '뿐' 띄어쓰기 어렵지 않아요. 너뿐이야 / 널 사랑할 뿐이야, 이중 어느 쪽 띄어쓰기가 옳을까요? 정답부터 바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두 문장 중 맞는 띄어쓰기는 둘 다입니다. 아니 왜 같은 '뿐'인데 하나는 띄어 쓰고, 하나는 띄어 쓰지 않는다는 말일까요? 우리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띄어쓰기라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제가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피하고 있었던 것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오늘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를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의존명사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의존+명사는 명사이기는 하지만 자기 혼자서는 쓰일 수 없는 명사를 말합니다. 반드시 관형사나 수식어가 있어야만 쓸 수 있죠. 이를테면, 것, 줄, 수, 대로, 뿐, 데, 리, 마리, 모금, 켤레, 지, 바, 만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명확하게 .. 2023. 7. 18.
띄어쓰기 냄새나다 / 냄새 나다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오늘은 띄어쓰기 몇 가지를 공부해 보려고 해요. 띄어쓰기는 아무리 공부해도 틀리는데요. 아래 단어도 자주 틀린 경험이 있으실 거예요. 냄새나다 / 냄새 나다 과연 어느 쪽이 맞을까요? 여기에서는 어느 쪽이 맞다고 답을 낼 수가 없습니다. '냄새나다'는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동사) 신선하지 않은 생선이나 더러운 옷, 몸 따위에서 좋지 않은 기운이 나오다. 2. (동사) 어떤 일이나 사물에 몹시 싫증이 나다. '냄새나다'는 명사+동사가 결합한 형태입니다. 냄새는 명사로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코로 맡을 수 있는 온갖 기운. 2. 어떤 사물이나 분위기 따위에서 느껴지는 특이한 성질이나 낌새. -나다는 동사로 쓰이는 경우의 뜻만을 가져왔습니다. 1. 신체 표면이나 땅 위에 솟아나다. (여드름이.. 2023. 6. 5.
우리나라 우리 나라 띄어쓰기 어느 것이 맞을까요? 우리나라 우리 나라 띄어쓰기 어느 것이 맞을까요? 띄어쓰기는 우리말 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입니다. 사실 저도 자주 헷갈려요. 우리말에는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규정이라는 것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그런데 이 규칙이라는 것이 외우는 대로 머릿속에 그대로 남아 있느냐면 절대 아니죠. 외우는 순간 훨훨 날아가 버립니다. 의문이 생길 때는 국립국어원 홈페이지에 들어가 검색하면 됩니다. 그러나 띄어쓰기는 어렵기 때문에 조금 천천히 익히는 것을 권해 드려요. 이번 시간에는 하나만 익혀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우리'라는 단어입니다. '우리나라', '우리말', '우리글' 이렇게 세 개의 단어는 붙여 씁니다. 그러나 '우리 집', '우리 엄마', '우리 남편', '우리 오빠', '우리 강아지', '우리 국가', '우리.. 2023. 4.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