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름
가름은 기본형 가르다에 'ㅁ'이 붙어 명사가 된 단어입니다.
표준 대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의미는 아래와 같다고 나옵니다.
1. 쪼개거나 나누어 따로따로 되게 하는 일.
2. 승부나 등수 따위를 정하는 일.
3. 사물이나 상황을 구별하거나 분별하는 일.
예문
*이기고 지는 것은 대개 외발 싸움에서 가름이 났다. (승부 결정)
*남자인지 여자인지 외모를 보고는 가름이 나지 않는다. (사물 분별)
*이제는 지역에 따라 내 편 네 편 가름은 없어져야 한다. (나눔. 쪼갬)
*예전에는 의복에서도 신분에 따른 가름이 있었다. (나눔)
*이제 지쳤으니 승패의 가름은 가위바위보로 합시다. (승부 결정)
*이 책의 내용은 세 편으로 가름한다. (나눔)
*친구들끼리 사소한 일로 편을 가름은 좋지 않다. (나눔)
*학문은 민족의 흥망을 가름하며 문화의 성쇠에 관건이 된다. (나눔)
가늠
가늠하다의 명사형으로 그 뜻은
1. 목표나 기준에 맞고 안 맞음을 헤아려 봄. 또는 헤아려 보는 목표나 기준.
2.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린다, 어림잡아 짐작하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예문
*그 건물의 높이가 가늠이 안 된다. (헤아림)
*막연한 가늠으로 사업을 하다가는 실패하기 쉽다. (어림짐작)
*떡 반죽도 가늠을 잘해야 송편이 예쁘게 빚어진다. (헤아림)
*자기 분수를 가늠하지 못하고 사업하다가 실패했어요. (헤아림)
*이 산불이 어디서 시작됐는지 가늠도 못 하겠어요. (짐작)
*뭘 묻는지 가늠이 되지 않습니다. (짐작)
*지금으로서는 여론의 향방이 어디로 갈지 가늠이 되지 않습니다.
*얼굴에 주름이 없어서인지 나이가 가늠이 안 됩니다.
*높이를 대충 가늠했는데 정확하게 맞아떨어졌어요.
*우리가 가는 방향이 맞는지 가늠할 수 있어요?
갈음
갈음은 갈음하다의 명사형입니다.
1.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함
2. 일한 뒤나 외출할 때 갈아입는 옷.
예문
*제 소개는 제가 쓴 이 책으로 갈음하겠습니다. (대신)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에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면서 이 치사를 갈음합니다. (대신)
*개정법에 따라 공증인의 조사 보고와 공인된 감정인의 감정으로 검사인의 조사에 갈음할 수 있게 되었다. (대신)
*간략하게나마 이것으로 소개의 말을 갈음할까 합니다. (대신)
*과거에는 사람들이 소금이나 후추로 화폐를 갈음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대신)
*외출하고 돌아와서 갈음옷으로 바꿔입고 나오겠습니다.
세 단어의 발음은 상당히 유사합니다.
그러나 그 의미는 다르므로 여기에 나오는 예문을 찬찬히 읽어보면 혼동하거나 헷갈릴 일은 없을 것입니다.
아래 예문은 문제입니다. 문장 아래 바로 답을 적어두겠습니다.
지금의 상황으로는 이 주식의 값이 오를 것인지 가늠 / 가름을 할 수 없다.
--->지금의 상황으로는 이 주식의 값이 오를 것인지 가늠을 할 수 없다.
아무리 성능이 좋은 총이라도 가늠 / 가름이 잘못되면 제대로 맞지 않는다.
--->아무리 성능이 좋은 총이라도 가늠이 잘못되면 제대로 맞지 않는다.
대장은 지도를 펴놓고 우리가 가는 방향이 맞는지 가름 / 가늠을 해 보았다.
--->대장은 지도를 펴놓고 우리가 가는 방향이 맞는지 가늠을 해 보았다.
여론의 향방을 갈음 / 가늠 / 가름해 보다.
--->여론의 향방을 가늠해 보다.
전봇대의 높이를 가늠 / 가름할 수 있겠니?
--->전봇대의 높이를 가늠할 수 있겠니?
이번 경기는 선수들의 투지가 승패를 가름 / 갈음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번 경기는 선수들의 투지가 승패를 가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게요 / 할께요 어느 쪽이 맞을까요? (1) | 2023.07.08 |
---|---|
갑절 / 곱절 같은 뜻일까요? (0) | 2023.07.06 |
어떡해 / 어떻게 / 어떻해 어느 것이 맞을까요? (0) | 2023.07.03 |
'의'와 '에'가 너무 헷갈려요, 어떨 때 사용하나요? (0) | 2023.07.01 |
어따대고 / 얻다대고 무엇이 맞을까요? (1) | 2023.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