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게도 1988년까지는 동사 뒤에 붙는 ㄹ게요는 ~ㄹ께요라고 써도 맞는 말이었답니다. 부모님들께서는 지금도 ~ㄹ께요라고 쓰는 분들도 많죠. ~께요는 틀린 단어가 되고 ~ㄹ게요만이 맞는 말이 된 것은 1988년의 일입니다. 1988년에 한글맞춤법 6장 53항이 덧붙여졌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6장 53항은 이런 내용입니다.
제53항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옳음 | 틀림 | 옳음 | 틀림 |
-(으)ㄹ거나 -(으)ㄹ걸 -(으)ㄹ게 -(으)ㄹ세 -(으)ㄹ세라 -(으)ㄹ수록 -(으)ㄹ시 -(으)ㄹ지 |
-(으)ㄹ꺼나 -(으)ㄹ껄 -(으)ㄹ께 -(으)ㄹ쎄 -(으)ㄹ쎄라 -(으)ㄹ쑤록 -(으)ㄹ씨 -(으)ㄹ찌 |
-(으)ㄹ지니라 -(으)ㄹ지라도 -(으)ㄹ지어다 -(으)ㄹ지언정 -(으)ㄹ진대 -(으)ㄹ진저 -올시다 |
-(으)ㄹ찌니라 -(으)ㄹ찌라도 -(으)ㄹ찌어다 -(으)ㄹ찌언정 -(으)ㄹ찐대 -(으)ㄹ찐저 -올씨다 |
다만,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는다.
-(으)ㄹ까? -(으)ㄹ꼬? -(스)ㅂ니까? -(으)리까? -(으)ㄹ쏘냐?
의외로 우리가 자주 틀리는 단어 몇 개를 확인해 볼까요?
할게요(O) / 할께요 (☓)
그럴게요(O) / 그럴께요(☓)
올게요(O) / 올께요(☓)
갈게요(O) / 갈께요(☓)
줄게요(O) / 줄께요(☓)
드릴게요(O) / 드릴께요(☓)
먹을게요(O) / 먹을께요(☓)
있을게요(O) / 있을께요(☓)
들을게요(O) / 들을께요(☓)
사올게요(O) / 사올께요(☓)
맞춰볼게요(O) / 맞춰볼께요(☓)
쓸 때는 이렇게 전부 ~게요라고 써야 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
병원에 가거나 물건을 사러 갔을 때 자주, "다음에는 내시경 검사하러 가실게요"라고 말하거나, "이거 말고 이 옷으로 입어 보실게요"라고 말하는 것을 들은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것은 틀린 말입니다.
~ㄹ게는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하겠다고 약속하는 말입니다. 그러니 내가 하겠다는 말, 자신에게 존칭을 붙이는 것이라서 틀린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죠.
'내시경 검사하러 가실게요'가 아니라 내시경 검사하러 가주세요. 내시경 검사하러 가주시겠습니까? 내시경 검사하러 가주시겠어요? 중에서 골라 쓰시는 것이 옳은 표현입니다. '이 옷으로 입어 보실게요'는 이 옷으로 입어보시겠습니다. 이 옷으로 입어주시겠습니까? 이렇게 표현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할게, 할 걸, 했을 걸처럼 ~ㄹ의 뒤에 오는 ㄱ ㅅ ㅈ은 된소리가 아닌 예사 발음으로 써야 한다는 것을 잊지 않으셔야 합니다.
아래 예문은 전부 틀린 문제입니다. 답은 아래에 두겠습니다.
*1층 카운터로 이동하실게요.
*여기서 기다리실게요.
*이제 들어가실게요.
*일단 박수부터 치실게요.
*여기서 쉬었다 가실게요.
*이 문제만 풀고 잠시 쉴께요.
*제가 알아서 할께요.
*내 마음을 당신께 모두 줄께요.
*남은 일은 내가 다 할께.
*중요한 문제니까 모두와 상의한 후에 결정할께.
정답
1층 카운터로 이동하실게요.
--> 1층 카운터로 이동해 주십시오.
여기서 기다리실게요.
--> 여기서 기다려 주십시오.
이제 들어가실게요.
--> 이제 들어가 주세요.
먼저 박수부터 치실게요.
--> 먼저 박수부터 쳐주십시오.
이 문제만 풀고 잠시 쉴게요.
제가 알아서 할게요.
내 마음을 당신께 모두 줄게요.
남은 일은 내가 다 할게.
중요한 문제니까 모두와 상의한 후에 결정할게.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률'과 '율'의 구별이 어렵다고요? (0) | 2023.07.12 |
---|---|
붙이다 부치다 적절하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0) | 2023.07.10 |
갑절 / 곱절 같은 뜻일까요? (0) | 2023.07.06 |
가름과 가늠 그리고 갈음, 의미를 전부 알고 계시나요? (0) | 2023.07.04 |
어떡해 / 어떻게 / 어떻해 어느 것이 맞을까요? (0) | 2023.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