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사이시옷3

위 / 윗 / 웃 구분 어렵지 않아요! 쉬운 말일 것 같은데 위를 가리키는 말인 ‘위’ 뒤에 명사가 왔을 때, 언제 ‘웃‘으로 쓸지 ‘윗’이라고 써야 할지 우리는 자주 혼동하고는 합니다. 오늘은 ‘웃~’과 ‘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위, 아래’의 개념상 대립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는 ‘웃~’으로 쓰고, 그 외에는 ‘윗~’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①예를 들어보면 ‘웃돈’과 ‘윗돈’은 ‘아랫돈’이 있을 수 없으므로 ‘웃돈’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②이에 비해 ‘윗목’은 ‘아랫목’이 있으므로 ‘웃목’이 아닌 ‘윗목’을 표준어로 삼은 것입니다. *주의할 점 ②의 경우 ‘윗~’이 붙은 단어가 있다면 ‘아랫~’이 붙는 단어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랫~’이 붙은 말이 없다고 하더라도 ‘윗~’이 의미상 ‘아랫.. 2023. 10. 23.
사이시옷은 정말 우리말의 아킬레스건일까요? 아킬레스건은 치명적인 약점이라는 뜻이니까, 사이시옷은 우리말 맞춤법의 아킬레스건이라는 표현은 맞는 표현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꽤 많은 분들이 이렇게 표현했고, 격앙한 어떤 학자는 아예 사이시옷을 없애자고도 했습니다. 북한에서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는다고도 하더군요. 그러나 사이시옷만 없앴을 뿐 발음은 남한과 같다고 하니까요. 어느 쪽이 맞다 틀리다로 나눌 수는 없는 문제 같습니다. 어쨌든! 다음 포스팅은 사이시옷에 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하고 글을 올려놓고는 후회막심이었습니다. 양이 너무 방대해서 하나로 묶을 수도 없었고, 한꺼번에 묶어도 이걸 누가 읽나 싶기도 했습니다. 매번 말씀드리지만, 글 쓰기 어플에는 맞춤법 검사기가 다 딸려 있어서 띄어쓰기부터 맞춤법까지 바로바로 고쳐주니까요. 또 정 필요.. 2023. 10. 17.
너 이렇게 행동하면 큰 대가 / 댓가를 치르게 될 거야! 오늘은 사이시옷에 관한 맞춤법 중 하나인, 한자 합성어일 경우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 규정만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사이시옷 규칙에 관해서는 내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이시옷은 우리나라 맞춤법 중에서 가장 어렵고 복잡한 것이며, 아직도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많은 것이기도 합니다. 심지어 사이시옷 맞춤법을 아예 없애버리자고 건의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사이시옷에 관한 맞춤법 규칙은 정해져 있지만 예외가 많아서 한글 시험을 볼 분들은 외우는 것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기도 합니다. 하지만 외워야 할 양이 많은 것은 아니니까 크게 걱정하지는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제목에 쓴 문장, 너 이렇게 행동하면 큰 댓가 / 대가를 치르게 될 거야!에서 정답은 대가입니다. 이것은 한자어끼리의 합성어 뒤에는 ‘ㄴ’.. 2023. 10.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