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제는 한자에 따라서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보통 계제(階梯)는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된 형편이나 기회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또 신문이나 잡지에 기사가 게재되었다고 말할 때는 게재(揭載)를 사용합니다.
발음이 비슷하므로 혼동할 수는 있지만, 다른 의미가 있는 다른 단어이기 때문에 예문을 여러 번 보아서 익혀 두면 좋을 것입니다.
이번 기회에 다른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제(階梯)
1. 사다리라는 뜻으로, 일이 되어 가는 순서나 절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명사)
2.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된 형편이나 기회(명사)
3. 체육 기계 체조에 사용하는, 옆으로 비스듬히 세운 사다리(명사)
예문을 들어 계제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지금 그걸 할 계제는 아니지. (형편)
*지금으로서는 이것저것 가릴 계제가 아닙니다. (형편)
*그러나 내겐 장인님이 감히 큰소리할 계제가 못 된다. (형편)
출처: 김유정, 봄봄
*아무래도 다른 동무들한테 한풀 꺾이는 것을 액색히 (부사: 운수가 막혀 생활이나 행색이 궁색해 보이는) 생각해서 기회를 보다가 계제를 만나, 작년 봄에 이 군산 지점으로 전근을 시켜 주었다. (기회)
출처: 채만식, 탁류
*불차탁용이란 계제를 가리지 않고 자리를 뛰어서 인물 본위로 벼슬자리를 준다는 가장 영광스러운 승진을 말하는 것이다. (순서, 절차)
출처: 박종화, 임진왜란
*깊이 알려고 할수록 공부에는 밟아야 되는 계제가 있음도 짐작이 되었다. (순서, 절차)
출처: 새날의 지성
계제(計除)
셈을 따져서 제할 것을 제함 (명사)
계제 (階除)
걸어서 층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턱이 지게 만들어 놓은 설비 (명사)
게제(偈諦)
불교 부처의 공덕을 찬탄하는 게구(偈句)의 참뜻이라는 뜻으로, 불교의 오묘한 진리를 이르는 말 (명사)
게재(揭載)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신문이나 잡지 따위에 실음 (명사)
*지난 호 잡지에 내 수필이 게재되었어요.
*내가 쓴 논문이 네이처지에 게재되었어요.
개재(介在)
어떤 것들 사이에 끼어 있음. '끼어듦', '끼어 있음'으로 순화 (명사)
개재(開齋)
<가톨릭> 단식재와 금육재 기간이 지남 (명사)
*사적 감정의 개재가 이 일의 변수이다. (끼어있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그 사건은 권력 기관의 개재로 더욱 복잡하게 꼬여 갔다. (끼어듦)
출처: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이번 협상에는 수많은 변수가 개재되어 있다 (끼어듦)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그와 나 사이에는 아무런 선입견도 개재하지 않는다. (끼어있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우리 두 사람이 결혼에 이르기까지는 많은 문제가 개재해 있다. (끼어있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개제(改題)
제목을 바꿈. 또는 바꾼 제목.(명사)
개제(皆濟)
1. 빌렸던 돈이나 물건 따위를 남김없이 다 갚음
2. 모든 일을 남김없이 정리하여 끝냄 (명사)
개제(開剃)
[북한어]<역사> '개체3(머리의 가장자리를 깎고 정수리 부분의 머리털만 남겨 길게 땋아 늘임)'의 북한어 (명사)
개제(開題)
<불교> 경론(經論)의 제목을 설명하고 내용의 대강을 풀이함. 또는 그런 것 (명사)
개제(開霽)
내리던 비가 멎고 하늘이 활짝 갬 (명사)
개제(愷悌/豈弟/愷弟)
'개제하다(용모가 단아하고 기상이 화평하다)'의 어근 (명사)
개제(介弟)
남의 아우를 높여 이르는 말 (명사)
계제와 게재는 흔히 사용하는 단어라서 혼동할 일은 없지만 개제는 한자에 따라 의미가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문을 여러 번 읽어서 뜻 정도는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서 한자와 함께 의미를 올렸습니다.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있음에 / 있으매, 어느 쪽 표현이 맞을까요? (0) | 2023.06.16 |
---|---|
내노라하는 / 내로라하는, 어떤 것이 맞을까요? (0) | 2023.06.16 |
녹록지 않다 / 녹록치 않다 어떤 표현이 옳을까요? (4) | 2023.06.12 |
추스르다 / 추스리다 어느 쪽이 맞을까요? (0) | 2023.06.10 |
든지 / 던지의 표현, 올바르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