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67

황당무계 / 황당무개 어느 쪽이 맞을까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 '황당무계'와 '황당무개' 중 53%에 달하는 분들이 황당무개가 정답이라고 하셨습니다. 정답은 황당무계입니다. 황당무계나 황당무개나 발음하면 완전히 똑같게 들립니다. 그래서 황당무개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으셨나 봅니다. 황당무계(荒唐無稽)는 한자어인데 장자의 천하 편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하나씩 의미를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荒(황): 거칠 황 唐(당): 황당할 황 無(무): 없을 무 稽(계): 헤아릴 계 거칠고 황당해서 헤아릴 수가 없다. 하는 말이 거칠고 두서가 없다. 예문 *그 영화는 정말 황당무계한 이야기였어. *요즘에는 이해할 수 없는 황당무계한 일들이 자주 벌어져. *아버지가 또 황당무계한 일을 벌이셨네. *아무리 들어도 어제 그 일은 황당무계하잖아요... 2023. 7. 21.
오랫동안 / 오랜동안 자주 헷갈리시나요? 오늘 배워볼 단어는 '오랫동안'입니다.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으로 매번 순위권에 있는 단어인데요. 한 번만 진지하게 아래 예문을 읽어보신다면 다시 틀릴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위의 제목에서 정답은 '오랫동안'입니다. 그렇다면 '오랜동안'은 틀린 단어일까요? 엄밀하게 말하자면 틀렸다고 단정해 버릴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오래다의 관형사형인 '오랜'의 뒤에 명사 '동안'을 써서 '오랜 동안'이라고 띄어서 써준다면 지나간 기간이 오래다, 길다는 뜻이기 때문에 오랜 동안은 맞는 단어입니다. 그러나 '시간상으로 지나간 기간이 길다, 오래다'라는 뜻으로는 '오랫동안'이 있고, 우리말에서는 '오랫동안'만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혹시 '오랜동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오랫동.. 2023. 7. 21.
여태껏 / 여지껏 어느 쪽이 맞을까요? 여태껏 / 여지껏 어느 것이 맞을까요? 저만해도 지금까지 여지껏을 많이 사용해왔는데요, 그러나 여지껏은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말이고 '여태껏'이 맞습니다. 그러므로 위의 답은 여태껏이 맞습니다. 이 규정은 표준어 규정 3장 4절 25항에 따른 것으로 내용은 간단합니다. 표준어 규정 3장 제4절 25항 단수 표준어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여지껏보다 여태껏을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여태껏'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저는 여지껏을 더 자주 사용했던 것 같은데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여태껏이라는 단어를 분석해 보면 여태+껏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태는 .. 2023. 7. 19.
너뿐이야 / 널 사랑할 뿐이야, '뿐' 띄어쓰기 어렵지 않아요. 너뿐이야 / 널 사랑할 뿐이야, 이중 어느 쪽 띄어쓰기가 옳을까요? 정답부터 바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두 문장 중 맞는 띄어쓰기는 둘 다입니다. 아니 왜 같은 '뿐'인데 하나는 띄어 쓰고, 하나는 띄어 쓰지 않는다는 말일까요? 우리말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띄어쓰기라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제가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피하고 있었던 것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오늘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를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의존명사라는 것이 무엇일까요? 의존+명사는 명사이기는 하지만 자기 혼자서는 쓰일 수 없는 명사를 말합니다. 반드시 관형사나 수식어가 있어야만 쓸 수 있죠. 이를테면, 것, 줄, 수, 대로, 뿐, 데, 리, 마리, 모금, 켤레, 지, 바, 만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명확하게 .. 2023. 7. 18.
날씨와 관련한 우리말을 알아보아요. 이번 주부터 긴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충남과 전북에 극한 호우가 온다면서 뉴스는 '극한'이라는 단어를 붙였고, 앞으로 사흘 동안 최대 400mm가 더 올 것이라는 소식도 전해주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소식이고, 미국의 뉴욕주에는 천년 만에 있을까 말까 한 폭우가 내렸다고 합니다. 미국도 유럽도 중국도 그리고 우리가 사는 아시아도 어김없이 해마다 이상 기후가 심해져 가고 있습니다. 이런 뉴스를 접할 때마다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의 임계점은 언제일까요? 이스터섬의 모아이 석상에 대해서는 아직도 확실한 연구가 나온 것은 없지만 모아이 석상을 세우기 시작하고 섬의 자원이 파괴되고 자멸할 때까지는 200여 년의 시간이 걸렸다는 것은 거의 확실한 것 같습니다. 우리에게도 최소 200년의 시간은 남아있을까요? .. 2023. 7.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