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67

'안'과 '않'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봐요. 오늘은 우리가 의외로 자주 틀리는 '안'과 '않'에 대해 가져왔습니다. 안과 않은 어떻게 발음하면 다르게 들릴까요? 다르게 들리도록 발음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이 신기할 정도로 '안'과 '않'의 발음은 거의 같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안'과 '않'을 헷갈리게 된 이유일 겁니다. 거기다가 뜻마저 비슷합니다. '안'과 '않'은 둘 다 부정의 의미가 있으니까요. 그런데 '안'과 '않'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틀리면, 그 사람에 대한 신뢰도가 무려 65%나 추락한다고 합니다. 어느 기관의 조사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이분 저분이 인용하는 것을 저도 보아서 저도 여기 올려보았습니다. 퍼센트의 신뢰도, 조사기관의 신뢰도는 잘 모르겠으나 맞춤법을 사용하지 못해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느낌은 여러분도 경험.. 2023. 7. 13.
'률'과 '율'의 구별이 어렵다고요? 혹시 율과 률을 혼동해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신가요? 평소에는 잘 알고 있는 단어인데 어쩌다 잘못 쓰게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소한 맞춤법을 틀리면 어딘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어 의기소침해질 때가 있죠. 뭘 이런 것도 틀렸나 싶기도 하고요. 이런 일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문을 많이 읽어두어 자연스럽게 '률'과 '율'이 들어간 단어를 많이 익혀 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오늘도 많은 예문을 가지고 왔습니다. 한두 번만 읽어두어도 혼동하는 일은 줄어들 거라고 믿으면서요. 먼저 어떨 때 '률'이라고 읽고 어떨 때 '율'이라고 읽는지 그 규칙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받침이 있는 말 다음에는 '~률'로 적습니다. --> 법률, 능률, 출석률, 명중률, 합격률, 성공률, 슛률(외국어 뒤에 붙어.. 2023. 7. 12.
붙이다 부치다 적절하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붙이다와 부치다는 발음이 같습니다. 그래서 구별하기가 영 어려운 단어 중의 하나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구별하는 방법으로는 붙이다, 그러니까 무엇과 무엇을 붙게 하다의 의미가 있는 단어는 붙이다를 쓰고, 그런 의미가 없는 단어에는 부치다를 쓴다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더 어렵고 혼동이 된다고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이 글을 읽어보시면 바로 깨닫게 되실 겁니다. '붙이다'에는 아래와 같은 의미가 있습니다. 예문과 함께 보시겠습니다. ① 맞닿아 떨어지지 아니하게 하다. --> 강력 본드로 갈라진 틈새를 붙였다. ② 물체와 물체 따위를 서로 바짝 가깝게 놓다. --> 책상과 책상을 바짝 붙였다. ③ 겨루는 일 따위가 서로 어울려 시작되게 하다. --> 동훈이와 승준이를 씨름 상대로 붙였다. ④ 불을 옮겨 타게 하.. 2023. 7. 10.
할게요 / 할께요 어느 쪽이 맞을까요? 놀랍게도 1988년까지는 동사 뒤에 붙는 ㄹ게요는 ~ㄹ께요라고 써도 맞는 말이었답니다. 부모님들께서는 지금도 ~ㄹ께요라고 쓰는 분들도 많죠. ~께요는 틀린 단어가 되고 ~ㄹ게요만이 맞는 말이 된 것은 1988년의 일입니다. 1988년에 한글맞춤법 6장 53항이 덧붙여졌기 때문입니다. 한글맞춤법 6장 53항은 이런 내용입니다. 제53항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옳음 틀림 옳음 틀림 -(으)ㄹ거나 -(으)ㄹ걸 -(으)ㄹ게 -(으)ㄹ세 -(으)ㄹ세라 -(으)ㄹ수록 -(으)ㄹ시 -(으)ㄹ지 -(으)ㄹ꺼나 -(으)ㄹ껄 -(으)ㄹ께 -(으)ㄹ쎄 -(으)ㄹ쎄라 -(으)ㄹ쑤록 -(으)ㄹ씨 -(으)ㄹ찌 -(으)ㄹ지니라 -(으)ㄹ지라도 -(으)ㄹ지어다 -(으)ㄹ지언정 -(으)ㄹ진대 -(으)ㄹ진저 -올시다 -.. 2023. 7. 8.
갑절 / 곱절 같은 뜻일까요? 빠르게 답을 내놓자면, 그렇지 않습니다. 갑절과 곱절은 의미가 다르답니다. 갑절은 두 배(2배)라는 뜻이 있습니다. 하지만 곱절은 두 배, 세 배, 네 배등, 배수를 세는 단위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그러니 두 배라고 말할 때만 갑절이라고 사용해야 합니다. 두 배, 세 배, 네 배를 말하려고 할 때는 세 곱절, 네 곱절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습니다. 두 배는 갑절이라고 말해도 되고, 두 곱절이라고 말해도 됩니다. 어려운 말은 아니지만 자칫하면 잘못 말할 수도 있으니까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우리 단어에는 이렇게 발음이 비슷해서 의미를 혼동하는 단어들이 몇 개 있습니다. 오늘은 그런 것들을 몇 개 모아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진'과 '갖은'을 한 번 살펴볼까요? '가진'과 '갖은'을 한 번씩 소.. 2023. 7.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