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7 어떡해 / 어떻게 / 어떻해 어느 것이 맞을까요? '어떡해'와 '어떻게'는 둘 다 맞는 말입니다. 이 둘은 발음이 유사해서 혼동하기 쉽지만 쓰임은 차이가 있습니다. '어떻게'는 '어떠하다'가 줄어든 '어떻다'에 어미 '-게'가 결합하여 부사적으로 쓰이는 말이고 '어떡해'는 '어떻게 해'라는 구(句)가 줄어든 말입니다. 둘은 그 의미가 다를 뿐만 아니라 전자는 단어이고, 후자는 구이기 때문에 문장에서의 쓰임도 아주 다릅니다. '어떻게'는 부사형 활용이므로 다양한 용언을 수식합니다. 제목의 세 단어 안에 있는 '어떻해'는 사전에 없는 말이니 어떤 경우에도 사용하면 안 됩니다. ①먼저 '어떡해'부터 조금 더 자세히 공부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어떡해의 기본형은 어떡하다이며 '어떠하게 한다'의 준말입니다. 혹시나 어떻하다로 쓴다면 틀린 말이며 어떡하다가 바른말이.. 2023. 7. 3. '의'와 '에'가 너무 헷갈려요, 어떨 때 사용하나요?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우리가 모두 헷갈리는 문제이니까요. 문법적으로 분석해서 완벽하게 머릿속에 입력해 두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어학사전을 찾아보면 관형격 조사로 사용할 때는 '의'를 쓰고 부사격 조사로 사용할 때는 '에'를 쓰라고 되어 있습니다. *관형격 조사 '의'는 체언과 체언 사이에서 두 체언(명사)의 관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소유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부사격 조사 '에'는 앞말을 부사어로 만들고 뒤에 오는 용언을 수식하게 합니다. 장소와 진행 방향, 원인을 나타낼 때 사용하게 됩니다. 가능하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의'를 사용해야 할 때 먼저 예문을 한 번 봐주세요. *아래의 사람들은 이번 분기에 뛰어난 실적을 올린 분들입니다. 아래+의+사람들에서, 아래는 장소를 가.. 2023. 7. 1. 어따대고 / 얻다대고 무엇이 맞을까요? 어따대고, 얻다 대고, 우리가 참 자주 사용하는 단어인데요. 이것도 자주 틀리는 단어 중의 하나입니다. 제목의 어따대고/ 얻다대고 둘 중 어느 쪽이 맞고 어느 쪽이 틀렸을까요? 사실 제목에 올려놓은 단어는 둘 다 틀렸습니다. 어따대고는 표준어가 아니고, 얻다대고는 얻다 대고라고 띄어 써줘야 합니다. 아래 예문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얻다 대고는 반어적인 의문문에 사용하며 화자가 생각하기에 감히 저런 표현을 한다거나, 적절치 못한 상황을 지적할 때 시비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얻다 대고가 시비조로 사용되게 된 것은 얻다의 뒤에 붙어 있는 '대다 (대고)' 때문입니다. 대다(동사). ①정해진 시간에 닿거나 맞추다. ②어떤 것을 목표로 삼거나 향하다. (보조동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반복하거나 그 행동.. 2023. 6. 29. 넘어 / 너머의 표현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오늘 배우게 될 넘어와 너머도 무척이나 어려운 표현 중의 하나입니다. 넘어 너머, 발음이 같은데다 뜻도 거의 비슷하므로 혼동하기 쉽다는 것이 그 이유일 것입니다. 하지만 찬찬히 의미를 생각하고 이해한다면 혼동할 이유는 없습니다. '넘다'는 동사로 산을 넘다, 언덕을 넘다처럼 동작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거기에 '어'가 연결된 것이지요. '넘어'는 직접 걸음을 옮겨서 산을 넘어갔을 때는 '산 넘어 산'이라고 표현합니다. 산을 넘으면 또 산이 있다고 하니, 여기의 '넘어'에는 동작이 들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산 너머에는 있을 거야'라고 말할 때는 '산 너머에는 있을 거야'라고 표현해야 합니다. 왜요? 라는 질문이 저절로 나오고 맙니다. 도대체 왜일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산 너머'라.. 2023. 6. 27.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