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7

자기 개발 / 계발이 필요해요, 어느 쪽이 맞을까요? 두 개의 단어 중에서 어느 쪽이 맞다고 생각하시나요? 정답은 둘 다 맞습니다. 이 말은 뒤에 어떤 말이 덧붙여지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집니다. "학원에 등록해 영어 공부를 더 해야겠어요"라는 문장이 뒤에 온다면, 내 지식을 발달하게 해주는 영어를 익혀서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자기 개발이 필요해요"가 더 적합한 표현입니다. 하지만 책을 더 읽어서 내 재능과 사상을 일깨워 주어야겠다는 의미일 경우에는 "자기 계발이 필요해요"라고 써야 할 것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개발과 계발에 대해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개발'은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을, '계발'은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을 뜻한다고요.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눈에 보이는 유형의 것을 발전시킨다고 말할 때는 개발을, 눈.. 2023. 7. 25.
황당무계 / 황당무개 어느 쪽이 맞을까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 '황당무계'와 '황당무개' 중 53%에 달하는 분들이 황당무개가 정답이라고 하셨습니다. 정답은 황당무계입니다. 황당무계나 황당무개나 발음하면 완전히 똑같게 들립니다. 그래서 황당무개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으셨나 봅니다. 황당무계(荒唐無稽)는 한자어인데 장자의 천하 편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하나씩 의미를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荒(황): 거칠 황 唐(당): 황당할 황 無(무): 없을 무 稽(계): 헤아릴 계 거칠고 황당해서 헤아릴 수가 없다. 하는 말이 거칠고 두서가 없다. 예문 *그 영화는 정말 황당무계한 이야기였어. *요즘에는 이해할 수 없는 황당무계한 일들이 자주 벌어져. *아버지가 또 황당무계한 일을 벌이셨네. *아무리 들어도 어제 그 일은 황당무계하잖아요... 2023. 7. 21.
오랫동안 / 오랜동안 자주 헷갈리시나요? 오늘 배워볼 단어는 '오랫동안'입니다.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으로 매번 순위권에 있는 단어인데요. 한 번만 진지하게 아래 예문을 읽어보신다면 다시 틀릴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위의 제목에서 정답은 '오랫동안'입니다. 그렇다면 '오랜동안'은 틀린 단어일까요? 엄밀하게 말하자면 틀렸다고 단정해 버릴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오래다의 관형사형인 '오랜'의 뒤에 명사 '동안'을 써서 '오랜 동안'이라고 띄어서 써준다면 지나간 기간이 오래다, 길다는 뜻이기 때문에 오랜 동안은 맞는 단어입니다. 그러나 '시간상으로 지나간 기간이 길다, 오래다'라는 뜻으로는 '오랫동안'이 있고, 우리말에서는 '오랫동안'만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혹시 '오랜동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셨다면 지금부터는 '오랫동.. 2023. 7. 21.
여태껏 / 여지껏 어느 쪽이 맞을까요? 여태껏 / 여지껏 어느 것이 맞을까요? 저만해도 지금까지 여지껏을 많이 사용해왔는데요, 그러나 여지껏은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말이고 '여태껏'이 맞습니다. 그러므로 위의 답은 여태껏이 맞습니다. 이 규정은 표준어 규정 3장 4절 25항에 따른 것으로 내용은 간단합니다. 표준어 규정 3장 제4절 25항 단수 표준어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여지껏보다 여태껏을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여태껏'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저는 여지껏을 더 자주 사용했던 것 같은데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여태껏이라는 단어를 분석해 보면 여태+껏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태는 .. 2023. 7.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