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70

6월 6일은 왜 유월 육일로 읽는 건가요? 승락, 승낙 어떤 것이 맞을까요? 이 질문은 한글 맞춤법 제 52항과 관계 있는 질문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52항은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음으로도 나는데, 각각 그 소리에 따라 적는다"는 규정입니다.즉, 같은 한자어의 발음이 두 가지 이상으로 나는 경우, 각각 달라진 발음에 따라 표기를 달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여기에서 본음은 한자의 원래 발음, 표준 발음을 말합니다.속음은 본음과는 달리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사용해 그렇게 굳어진, 흔하게 쓰이는 발음을 의미합니다. 예시:승낙(承諾)/수락(受諾), 쾌락(快諾), 허락(許諾): 모두 '승낙'이라는 같은 의미의 단어가 본음은 승낙으로, 속음은 수락, 쾌락, 허락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극대노: 본음은 '극대노'이지만 속음으로 '극대로'라고 발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2025. 7. 12.
음율 / 음률 무엇이 맞을까요? 둘 중 옳은 표기는 음률입니다. 열과 렬, 율과 률을 표기하는 문법은 아주 간단합니다.앞 음의 끝이 ‘ㄴ’과 모음으로 끝나면 ‘열, 율’로 발음하고, 다른 경우에는 전부 렬과 률로 발음하고 표기합니다. 확률(確率), 법률(法律), 음률(音律), 발생률, 능률 모음 ㄴ나열(羅列) 분열(分裂) 치열(齒列) 선열(先烈) 비열(卑劣) 진열(陳列) 규율(規律) 선율(旋律) 비율(比率) 전율(戰慄) 실패율(失敗率) 백분율(百分率) 기율(紀律), 운율(韻律) 예문 * 창자(唱者: 판소리에서 재담 및 연기하는 사람)가 음률이나 장단에 의지하지 않고 말로 하는 것을 아니리라고 한다. 출처: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 자네의 곡은 아주 새로운 음률이긴 하지만 끝맺음이 불분명한 게 단점이군. 출처: 고려.. 2025. 7. 12.
염치 불구하고 / 염치 불고하고 어느 쪽이 맞을까요? “염치 불고하고 잠시 앉았다가 갈게”라고 평소 말하는 사람은 참 드뭅니다.저만해도 염치 불고하고가 맞음을 알고 있음에도 자연스럽게 염치 불구하고가 입에서 먼저 나와버리니까요. 이것은 아마도 또 다른 단어, 불구(不拘)와 혼동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염치 불구하고 / 염치 불고하고 무엇이 맞을까요?염치 불구하고 / 불고하고 부탁을 드리려고 돌아왔습니다. ‘불구하고’와 ‘불고하고’ 어느 쪽 표현을 쓰시나요? 저만해도 염치 불고하고가 생소할 정도로 불구하고를 더 자주 써왔습니다만,hangulove.tistory.com 불구(不拘)하다는 얽매어 거리끼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이럴 때 사용하죠. - K팝 스타 공연 때문에 평일인데도 불구(不拘)하고 많은 사람이 몰려들었다. - 값을 대폭 인하했음에.. 2025. 7. 12.
여객기 참사 희생자들을 마음 깊이 애도합니다. 정말 올해는 끝이 나기는 나는 것일까요?국가적으로 이렇게 여러 번, 오래 힘들었던 해가 또 있었나 싶습니다.새삼 깨닫는 것인데요, 국가가 힘들면 국민은 그 몇 배로 더 힘들어집니다.  한강 작가님의 노벨상 수상 소식이 발표되던 그날 저녁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습니다. 이후 벌어진 일들은 전부 소거하고, 그날 저녁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습니다. 한글사랑에서는 올해 화제가 되었던 단어를 골라 의미를 한 번씩 짚어보고 가려고 합니다.   지랄발광 지랄발광 지랄 發狂명사 ‘개지랄’의 방언 (경북) 지랄 (명사)마구 법석을 떨며 분별없이 하는 행동을 속되게 이르는 말. (명사) ‘간질’(癇疾)을 속되게 이르는 말. *지랄은 우리말로 비속어입니다. 뇌전증(간질병)을 속칭 질알(窒斡)이라 한다고 고금석림(古今釋林)에 적.. 2024. 12. 30.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합니다. [백범일지 나의 소원] 중에서   나는 우리나라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마음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기 때문이다. 지금 인류에게 부족한 것은 무력도 아니오, 경제력도 아니다. 인류가 현재에 불행한 근본 이유는 인의가 부족하고 자비가 부족하고 사랑이 부족한 때문이다. 이 마음만 발달이 되면 현재의 물질력으로 20억이 다 편안히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인류의.. 2024. 11.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