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7 제 역활 / 역할은 여기까지 입니다. 무엇이 맞을까요? 이유가 무엇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이상하게도 우리는 역할을 ‘역활’이라고 많이 쓰기도 합니다. 역할의 한자를 보면 役割 부릴 역에 나눌 할을 씁니다. 그런데 왜 ‘역활’이라고 쓰는 사람이 많은지 그 이유는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굳이 추측해 보자면 역할은 연극 무대에서 사용하는 단어로, 역을 맡아 활동한다는 뜻이 아닐까 지레짐작하고 할을 활로 읽어버리는 것 아닐지 싶기도 합니다. 언제 ‘역활’이 역할로 바뀌었나요 라고 질문하는 분들이 계시던데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질문) 역할은 원래부터 ‘역할’이었습니다. 이제는 어떤 역할이든 ‘역활’이라고 쓰지 마시고 전부 역할이라고 써주세요. 역할 (役割) 명사 1. 자기가 마땅히 하여야 할 맡은 바 직책이나 임무. 2. 영화나 연극 따위에서 배우가 맡아.. 2023. 10. 19. 사실 나의 바람 / 바램은 별거 아니었어. 오늘도 우리가 자주 틀리는 단어 몇 개를 들고 왔습니다. 예문만 잘 읽어보시면 다시 틀릴 일 없는 것이니 마음 편하게 생각하고 읽어봐 주세요. 바람이라면 / 바램이라면 어머니께서 쭉 건강했으면 좋겠어. 무엇을 원한다고 말할 때 ‘바람’ 혹은 ‘바램’이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꽤 많은 사람이 잘못 사용하는 단어 중의 하나입니다. ‘바라다’와 ‘바래다’라는 동사가 명사로 활용했을 때는 ‘바람’과 ‘바램’이 됩니다. 그러나 그 의미는 사뭇 다르기 때문에 의미를 확실하게 알고 사용하셔야 합니다. 위의 문장에서 답은 ‘바람’이라고 표현해야만 합니다. 바라다 (동사) 1.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2.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3. 어떤.. 2023. 10. 19. 사이시옷은 정말 우리말의 아킬레스건일까요? 아킬레스건은 치명적인 약점이라는 뜻이니까, 사이시옷은 우리말 맞춤법의 아킬레스건이라는 표현은 맞는 표현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꽤 많은 분들이 이렇게 표현했고, 격앙한 어떤 학자는 아예 사이시옷을 없애자고도 했습니다. 북한에서는 사이시옷을 사용하지 않는다고도 하더군요. 그러나 사이시옷만 없앴을 뿐 발음은 남한과 같다고 하니까요. 어느 쪽이 맞다 틀리다로 나눌 수는 없는 문제 같습니다. 어쨌든! 다음 포스팅은 사이시옷에 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하고 글을 올려놓고는 후회막심이었습니다. 양이 너무 방대해서 하나로 묶을 수도 없었고, 한꺼번에 묶어도 이걸 누가 읽나 싶기도 했습니다. 매번 말씀드리지만, 글 쓰기 어플에는 맞춤법 검사기가 다 딸려 있어서 띄어쓰기부터 맞춤법까지 바로바로 고쳐주니까요. 또 정 필요.. 2023. 10. 17. 너 이렇게 행동하면 큰 대가 / 댓가를 치르게 될 거야! 오늘은 사이시옷에 관한 맞춤법 중 하나인, 한자 합성어일 경우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 규정만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사이시옷 규칙에 관해서는 내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이시옷은 우리나라 맞춤법 중에서 가장 어렵고 복잡한 것이며, 아직도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많은 것이기도 합니다. 심지어 사이시옷 맞춤법을 아예 없애버리자고 건의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사이시옷에 관한 맞춤법 규칙은 정해져 있지만 예외가 많아서 한글 시험을 볼 분들은 외우는 것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기도 합니다. 하지만 외워야 할 양이 많은 것은 아니니까 크게 걱정하지는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제목에 쓴 문장, 너 이렇게 행동하면 큰 댓가 / 대가를 치르게 될 거야!에서 정답은 대가입니다. 이것은 한자어끼리의 합성어 뒤에는 ‘ㄴ’.. 2023. 10. 16.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2 다음 728x90 반응형